laragon 환경에서 laravel로 작업시 composer 로 설치하고
도메인 연결 호스트에 추가등의 작업이 자동으로 되니까 아주 편합니다.
디렉토리 이름으로 laragon이 알아서 다 해줍니다.
여기에 추가로 http://localhost 화면에 추가된 도메인들을 알아서 출력해주는 스크립트 하나 올려봅니다.
뭐 대단한 내용이 들어간건 아닙니다.
apache 의 conf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 검사해서 그냥 도메인으로 보여주는 겁니다.
하는 일은 간단합니다.
이 상태로 첨부한 파일을 D:\laragon-portable\www 에 복사합니다. 기존 파일이 있으니 덮어쓰시면 됩니다.
저는 laragon이 D:\laragon-portable 에 설치되어 있으니 이걸 기준으로 합니다.
기본 설정이 Document Root는 D:\laragon-portable\www 이니 저 아래에서
composer create-project laravel/laravel vuxy-001
하여 테스트용 laravel을 설치합니다. 다 설치후 laragon 의 Start All 버튼을 누르고 Web 버튼을 누르면
위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
각각 http 접속링크, https 접속링크 , 관리자 화면용 링크를 표시합니다.
http://vuxy-001.test
를 클릭하면 방금 설치한 laravel 의 가장 기본 페이지인 다음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.
여기에 새로 프로젝트를 추가하고 laragon 의 stop , start all 을 하면 또 자동으로 추가됩니다.
로컬에서 웹개발시 화면확인에 좀 편하실겁니다.
반응형
SMALL
'iaa.dev > Larag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aragon 에서 SSL 사용하기 (0) | 2022.01.05 |
---|---|
아주 간단하게 Laragon으로 Windows에서 Laravel 웹 개발환경 만들기 (0) | 2022.01.04 |
댓글0